본문 바로가기
품질

국제표준화기구(ISO)

by 차뭉 2022. 7. 13.

역사적 배경

1980년대 전반에 영국과 네덜란드에서 도입된 것으로 EU 통합을 계기로 유럽에서는 무역거래의 활발한 활동에 제 3자의 심사 등록제도가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국제표준화기구(ISO)는 1986년 ISO 8402의 발표에 이어 1987년에 ISO 9000을 발표한 이후 이 표준화 시리즈는 전 세계에서 커다란 영향력을 보였습니다. 현재까지 전 세계에서 이미 100여 개의 국가에서 ISO 중앙사무국에 ISO 9000 시리즈를 국가표준으로 채용할 것을 약속하였으며 이러한 기준들은 세계 무역 선진국가인 미국, 일본 및 EU 12개국과 유럽 자유무역구에서 모두 이미 일상적으로 채용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품질 시스템에 대한 제 3자 등록제도는 제품/서비스를 구입하는 구매자를 대신하여 제 3자인 심사기관이 공급자의 품질시스템을 심사하여 규격에 적합하면 등록을 받아들여 이를 공표하여 구매자가 품질에 대해 신뢰감을 갖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의 주목적은 공급자와 구매자 간 거래의 원활화를 도모함에 있지만, 공급자 입장에서는 자사의 품질시스템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간접적으로는 소비자 보호라는 측면도 있습니다.

 

ISO 9000 시리는 EU 12개국을 비롯하여 세계 100여 개 국가에서 EU 지역 규격 내지 국가 규격으로 받아들이고 등록을 마친 회사가 45,000사에 이를 만큼 세계적인 관심사가 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전 세계적으로 'ISO 9000 시리즈'를 품질시스템 표준으로 수용하고 있는 점
  • EU 시장 내 영업이나 거래활동에 있어서 'EN 29000 시리즈(ISO 9000 시리즈)'의 등록이 EU 통합 이후 필수요건이 되고 있는 점
  • 따라서 'ISO 9000 시리즈'의 등록은 범세계적인 품질보증 내지 품질인증의 선행요건이 될 것이라는 점

국제표준화기구(ISO)는 1947년에 성립되어 90여 개 국가급 표준화 단체들이 참가한 국제적인 조직기구이며 세계에서 가장 큰 민간적인 표준화기구입니다. 이는 국제전기공업위원회인 IEC(Internatioanl Electro-technical Commission)와 긴밀한 협조를 통해 전 세계에 통일된 표준화를 추구하여 왔습니다. ISO의 취지는 전 세계 범위 내에서 표준화 발전에 추진하여 국제적인 물질 교류와 상호 협조의 편리화를 구축하는 동시에 문화, 화학, 기술 및 경제 등 다양한 차원의 협력을 확대하는 데 있습니다.

 

주요 업무는 ISO 표준을 작성하여 범세계적인 표준화 활동을 협조하고 국제표준화의 교류 상황을 반영합니다. 현재 표준화기구(ISO)는 약 900개의 전문분야기술위원회 TC(Techinical Committee)와 분야별기술위원회 SC가 있습니다. 각 회원국 대표들이 이러한 위원회에 참여하여 국제표준을 구축하고 있으며 매년 약 800개의 표준을 제정하고 또 보완하고 있습니다.

 

ISO 9000 시리즈의 세계적 동향과 역할

ISO 9000 시리즈가 출범된 시간은 얼마 되지 않았지만 그의 국제화는 이미 지정된 사실입니다. ISO 9000 시리즈 1994년판의 응용은 이미 호조를 일으켜 "ISO 9000 시리즈 현상"이라고도 합니다. 요즘에 와서 사람들은 규모가 매우 작은 기업 외에는 모든 서비스와 제조업체의 주요 경쟁자는 외국 업체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제품의 개발과 마케팅 전략은 반드시 세계 지향적이어야만 하며 글로벌 시대의 경쟁에 초점을 두어야 하는데 여기서 품질은 시장점유의 성공적인 요소입니다. 또한 이의 비중은 갈수록 커질 것입니다.

  1. EU 시장을 포함한 국제시장에서 인증 취득을 요구하는 기업이나 조직이 증가
  2. 이에 따라 공급업자는 협력업체에게 인증 취득을 요구함
  3. 시장의 압력과 구매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인증제도를 이용하려 함
  4. 일부의 기관구매자는 품질관리를 인증제도로 대체하여 검사를 간소화하려는 경향을 보임
  5. 안정성 및 제품책임 대책의 일부로서 ISO 9000 시리즈를 적용하는 경향이 있음
  6. 생산성 및 업무의 효율 증대, 품질시스템의 정비 및 개선에 이용하는 기업도 있음

 

ISO 9000 시리즈의 품질시스템 인증제도의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제 3자 체크에 의한 자사의 품질관리 수준 향상
  2. PL 문제를 염두에 둔 품질보증 및 책임체제의 명확화
  3. 수요자, 구매자, 소비자로부터의 신뢰 향상
  4. 구매자의 중복된 검사 회피
  5. 상호인증제도에 의한 UL 등의 정기적인 공장 감사의 감소
  6. 품질시스템의 정형화로 품질경영의 기반 조성

 

 

 

'품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사적 품질경영(TQM)  (0) 2022.07.14
품질비용(Quality Cost)  (0) 2022.07.13
현장관리자와 공정품질관리  (0) 2022.07.12
품질 데이터 관리  (0) 2022.07.12
고장 요인 분석(FTA)와 고장 모드 영향 분석(FMEA)  (0) 2022.07.1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