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품질

생산정보관리(ERP)시스템

by 차뭉 2022. 5. 9.

 현대의 기업은 소품종 대량생산의 체제에서 다품종 소량생산 체제로의 변화가 급속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제품의 제조공정이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보다 체계적인 작업을 하기위해서 컴퓨터를 이용하여 생산라인을 탄력성 있게 운영하기 위한 생산정보관리에 주력하고 있다.

 

1.ERP의 정의

 Enterprise Resource Planning의 약어로서, 전사적 자원관리라고 일반적으로 명명하고 있다. 기업 활동을 위해 쓰이고 있는 기업 내의 모든 인적, 물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궁극적으로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해 주는 역할을 하는 통합정보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기업은 경영 활동의 수행을 위해 여러 시스템, 즉 생산, 판매, 인사, 회계, 자금, 원가, 고정 자산 등의 운영 시스템을 갖고 있는데  ERP는 이처럼 전 부문에 걸쳐 있는 경영자원을 하나의 체계로 만드는 '통합적 시스템'을 재구축함으로써 생산성을 극대화하려는 대표적인 기업 리엔지니어링 기법이다.

 -기업 전체 자원의 효율적 관리 시스템

 -제조활동, 재무, 유통 및 기타 업무 기능들을 목적 지향적으로 조화롭게 통합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묶음으로 차세대 업무 시스템이다.

 -기업의 모든 자원에 대해서 계획, 활용한다고 볼 수 있으며 줄여서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 기업 자원관리 시스템이라 한다.

 

2.ERP의 흐름

 ERP는 MRP(자재소요량 관리), MRP(생산자원 관리), MIS(경영정보 시스템) 등의 자원관리 기법의 발전과정을 거치면서 발전했으며, 지난 90년대 유럽, 미국, 일본 등의 선진 기업들이 다국적 회사를 운영하기 위해 종합적인 정보망을 구축하면서 도입됐다.  ERP란 용어는 미국의 "ERP 벤더"하는 소프트웨어 개발회사가 자사의 소프트웨어 제품에 붙인 명칭에서 유래했다. 미국의 시장조사, 컨설턴트 회사가 그것들을 ERP 패키지라고 부른 것이 발단이라고 한다. 현재 국내에서는 '전사적 자원관리'로 번역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SAP코리아라는 회사가 독일 본사에서 ERP 제품을 국내에 들여오면서 이렇게 번역한 것이 그대로 굳어졌다고 한다.

 

3.ERP의 특징

1)Best Practices - ERP는 기업활동 전반에 걸친 업무 기능이 "베스트 비지니스 실행용"으로 제공된다. 베스트 비지니스 실행용은 세계에서 유수 기업이 채용하고 있는 프로세스에서 공통화시킨 프로세스이고 세계에서 통용되는 글로벌한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표준이다.

 

2)BPR Enabler - ERP를 도입하는 기업은 "최적 비즈니스 실행용"에 의해 제공된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을 이용해서 자사의 업무를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자사의 업무 프로세스의 최적 비즈니스 실행용의 전환은 비즈니스 리엔지니어링(BPR)을 실현한다.

 

3)통합 데이터베이스 - ERP의 업무 프로세스는 통합 데이터베이스라고 하는 중앙의 데이터베이스를 중간매개로 기업활동 전반에 걸쳐 통합되어 있다. 하나의 정보는 한 번만 입력하고 입려된 정보는 가공하지 않는 데이터로 어느 업무에서도 참조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에 보관된다.

 

4)파라미터 설정에 의한 단기간의 도입과 개발 - ERP에서는 미리 장착된 업무기능을 파라미터 설정으로 자사에 맞게 선택하고 설정한다. 파라미터 설정을 이용하는 방법은 단기간에 시스템을 도입할 수 있는 이유 중 하나이다.

 

5)오픈 시스템 - 대다수의 ERP 시스템은 특정의 하드웨어 업체에 의존하지 않은 오픈 형태를 채용하고 있다. 따라서 복수의 하드웨어 업체의 컴퓨터를 조합해서 멀티벤더 구성을 이룰 수 있다. 또한 C/S형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고 확정성도 뛰어나다.

 

4.ERP의 도입 목적

 ERP가 구축되면 기업의 생산, 영업, 구매, 재고관리, 회계부서 모두가 기업에 필요한 정보를 동시에 갖게 돼 기업의 전 부문이 통합적으로 돌아가게 된다. 기업은 생산시간의 손실을 최소화하게 되면, 시스템상에서의 재고 정확도가 지속적으로 개선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특히 제조업체들은 제품가의 60 ~ 70 %를 차지하는 부품조달을 합리적으로 기획하고 긴급히 발생한 새로운 생산수주 상황에 실시간으로 대처할 수 있다. ERP 시스템이 구축되면 또 기존에 1년에 한 두 번 또는 분기별로 시행하던 총 실사방식에서 탈피, 순환실사가 가능해짐에 따라 언제든지 투명한 회계상황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 주기적으로 재고부족이나 과잉순환 등의 흐름을 추적할 수 있게 돼 오류를 해결할 수도 있다.

 1)시스템 표준화를 통한 데이터의 일관성 유지

 2)개방형 정보시스템 구성으로 자율성, 유연성 극대화

 3)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구현으로 시스템 성능 최적화

 4)GUI 등 신기술 이용, 사용하기 쉬운 정보환경 제공

 5)재고관리 능력의 향상, 업무의 효율화

 6)계획생산체제의 구축 및 생산 실적 관리

 7)영업에서 자재, 생산, 원가, 회계에 이르는 정보 흐름의 일원화

 8)데이터의 중복 및 오류 배제

 9)필요정보의 공유화

 

*위의 내용 중 MRP 시스템이랑 자재소요계획으로, 제품의 생산 수량 및 일정을 토대로 그 생산제품에 필요한 원자재, 부분품, 공정품, 조립품 등의 소요량 및 소요시기를 역산하여 자재조달계획을 수립하여 일정관리를 겸하고 효율적인 재고관리를 모색하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일종의 일정계획 및 재고통제기법이다.

 

'품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산업규격(KS)  (0) 2022.05.12
실험계획법  (0) 2022.05.11
생산 공정의 오토메이션 : 공장 자동화  (0) 2022.05.10
QC의 7가지 수법(구 QC VS 신 QC)  (0) 2022.05.09
SCM 정의  (0) 2022.05.0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