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품질

관리 사이클(PDCA)

by 차뭉 2022. 7. 11.

PDCA의 본질은 행동과 행동의 결과인 Feedback을 통해 지속적인 개선으로 목표를 추구하는 방식입니다. PDCA는 실행과 확인의 과정에서 착오와 개선의 과학적 방법을 적용합니다. PDCA의 대표적인 ISO 9001은 품질경영시스템의 조직이 재화나 용역을 고객의 요구에 응하는 품질로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이 지속 가능함을 보여 줍니다. 

 

PDCA 사이클은 1950년 에드워드 데밍에 의해 고안되어 데밍 사이클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제품이나 프로세스를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경영혁신 도구입니다. 일본 도요타 자동차는 PDCA 사이클을 일류기업의 비밀이라고 합니다. 도요타는 신입사원 때부터 철저히 PDCA 사이클을 교육하고 이를 적용한 업무 보고서를 매년 의무적으로 작성하게 합니다. 우리나라의 삼성그룹과 한국콜마 역시 PDCA 관리 사이클을 적용하여 품질 분임조와 6 시그마 활동 등의 기법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품질관리는 물론 생산관리, 원가관리, 재고관리 등 개선 업무에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 어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고, 계획을 실행하고, 실행 결과를 확인하고, 계획과 실행 결과의 차이를 보완하는 사이클을 반복하면서 주어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지속적인 개선을 추진합니다.

 

지속적인 개선을 추진하는 PDCA 사이클

- Plan(계획) : 경영 목표나 방침 전개, 고객의 요구나 사내에서 발견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어떤 과제나 계획을 세우는 경우,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의 목표를 설정하고 측정할 수 있는 숫자로 표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은 SMART 원칙의 계획 수립 기법입니다.

 1) Specific : 구체적인 목표와 계획을 수립합니다.

 2) Measurable : 측정 가능한 방법과 목표를 설정합니다.

 3) Action-oriented : 행동 지향적 Action plan을 설정합니다.

 4) Realistic : 현실 지향적 목표와 계획을 설정합니다.

 5) Time-limited : 대책, 목표 등 기간을 설정합니다.

 

- DO(실행) : Plan 단계에서 수립한 전략이나 실행 항목을 일정에 따라 실시합니다. 중요한 것은 계획한 일정 내에 실행할 수 있는가를 점검하는 것입니다. 실행 단계에서 특정한 기술과 지식이 필요한 경우엔 적합한 기술을 습득하고 교육이나 기술 훈련을 합니다. 실행을 올바르게 하는 것은 성과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 Check(확인) : Do 단계에서는 실행 과정을 점검하고 결과의 효과성을 검증합니다. Check 단계에서는 실시한 결과를 목표와 비교하여 확인합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실행 결과를 만든 과정의 프로세스도 점검합니다. 실행 결과의 효과성도 중요하지만, 일하는 방법인 프로세스의 효율성을 점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Action(조치) : 점검 결과에 근거를 둔 행동을 결정합니다. PDCA 사이클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는 조치(Action)를 하는 것입니다. 계획된 목표가 달성된 경우 그 결과를 유지하기 위해 무엇을 할 것인지 구체적으로 검토를 합니다. 만약 결과 모니터 후 목표에 대비하여 차이가 있는 경우, 그 원인을 규명하고 필요하고 적절한 조치를 합니다. 조치 후 실행 결과를 확인합니다.

 

PDCA 사이클 사용의 장점

 - 강력한 배열을 추적하는 빠른 방법을 제공하는 비판적 사고 기법입니다.

 - 일관되고 지속적인 개선 보장합니다.

 - 모든 것이 평등하다는 것은 조직에서 실행할 수 있으며 조정하고 수행하는 것이 어렵지 않습니다.

 - 실행된 벤처의 실행 가능성을 지속적으로 심사할 수 있는 자유를 설정합니다.

 - 상호 작용 및 작업에서 수행하는 작업에 대해 작업자와 친밀도를 높입니다.

 

PDCA 사이클과 Kaizen

PDCA 프로세스는 번역하면 " 더 나은 변화" 또는 "지속적인 개선"을 의미하는 Kaizen의 일본 비즈니스 철학과 유사합니다. Kaizen은 모든 직원이 작업 환경에서 효율성을 찾아 생산성 향상에 참여하는 곳입니다. PDCA 주기와 마찬가지로 Kaizen은 작고 점진적인 변화를 통해 지속적인 개선을 목표로 합니다. Kaizen 또는 PDCA를 통해 수행할 수 있는 변경의 예로는 새로운 시스템 사용, 낭비의 제거 또는 적시 배송 구현이 있습니다. 모든 변경 사항이 작거나 점진적일 필요는 없습니다.

PDCA와 Kaizen의 이면에 있는 개념은 직원들이 문제 해결사와 비판적인 사고를 배우면서 조직 문화가 변한다는 것입니다. PDCA 주기는 직원의 아이디어를 테스트하고 수정한 다음 잠재력이 있는 경우 구현합니다. 주기는 개념을 지속적으로 테스트하고 개선을 촉진하는 반복적인 프로세스입니다.

 

 

 

 

 

 

 

'품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품질 데이터 관리  (0) 2022.07.12
고장 요인 분석(FTA)와 고장 모드 영향 분석(FMEA)  (0) 2022.07.12
품질 보증(QA)  (0) 2022.07.11
자재 관리  (0) 2022.07.08
품질 기능 배포(QFD)  (0) 2022.07.0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