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품질30

고장 요인 분석(FTA)와 고장 모드 영향 분석(FMEA) 고장 요인 분석(FTA) 1962년 미국 벨 연구소에서 고안된 FTA(Fault Tree Analysis)는 고장 나무 해석이라고 합니다. 화재, 폭발 등 특정되는 예상 사고에 대해 사고의 원인이 되는 설비나 기기의 결함과 작업자, 설계자의 오류를 연차적, 순차적, 도식적, 확률적으로 분석하여 해당 설비와 기기 시스템의 안정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FTA는 시스템이나 기기 고장의 바람직하지 않은 현상(Top 사상)의 발생 원인을 하위 레벨로 전개하여 Top 사상과 발생 원인의 관계를 정성적, 정량적으로 파악하여 대책이 가능한 레벨 요인의 최종 사상(기본 사상)을 구하는 수법입니다. 바람직하지 않은 경로가 명확하게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사상, 구성품이 확인되어 설계, 안전, 조작, 취급상의 약.. 2022. 7. 12.
관리 사이클(PDCA) PDCA의 본질은 행동과 행동의 결과인 Feedback을 통해 지속적인 개선으로 목표를 추구하는 방식입니다. PDCA는 실행과 확인의 과정에서 착오와 개선의 과학적 방법을 적용합니다. PDCA의 대표적인 ISO 9001은 품질경영시스템의 조직이 재화나 용역을 고객의 요구에 응하는 품질로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이 지속 가능함을 보여 줍니다. PDCA 사이클은 1950년 에드워드 데밍에 의해 고안되어 데밍 사이클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제품이나 프로세스를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경영혁신 도구입니다. 일본 도요타 자동차는 PDCA 사이클을 일류기업의 비밀이라고 합니다. 도요타는 신입사원 때부터 철저히 PDCA 사이클을 교육하고 이를 적용한 업무 보고서를 매년 의무적으로 작성하게 합니다. 우리나라의 .. 2022. 7. 11.
품질 보증(QA) 품질보증(Quality Assurance, QA)은 제품 또는 서비스가 지정된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체계적인 프로세스입니다. QA는 신뢰할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하거나 제조하기 위한 정해진 요구사항을 설정하고 유지합니다. 품질 보증 시스템은 고객의 신뢰와 회사의 신뢰성을 높이는 동시에 업무 프로세스와 효율성을 개선하고 회사가 다른 회사들과 더 잘 경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는 QA를 구현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세스를 매칭하고 QA 관행을 뒷받침하는 원동력입니다. QA는 종종 ISO 9000 국제 표준과 쌍을 이룹니다. 많은 기업들이 품질 보증 시스템이 제대로 갖춰져 있고 효과적인지 확인하.. 2022. 7. 11.
자재 관리 자재 관리는 조직 내에서 자재의 흐름을 계획, 구성, 지시 및 제어하는 프로세스입니다. 제조 분야에서 자재 관리자는 생산 공정에 사용할 원자재를 구매, 확보 및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개념과 자재 관리자의 특정 역할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있으면 이 분야에서 경력을 준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자재 관리가 무엇인지, 어떻게 작동하는지, 자재 관리자가 하는 일과 5가지 핵심 목표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겠습니다. 자재 관리의 정의 비즈니스의 맥락에서 자재 관리는 자재 및 재고와 관련된 물류 활동을 계획, 조직 및 지시하는 프로세스입니다. 이 프로세스의 핵심 아이디어는 사전에 요청하고 합리적인 가격으로 구매 또는 임대하고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여 자재 및 .. 2022. 7. 8.